kyuseo의 게임 프로그래밍
게임 개발팀의 운영 형태 (직원,스튜디오,독립채산팀) 본문
게임 개발 회사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게임 개발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방법마다 장단점이 존재하여 팀을 운영하시는 회사에서 어떠한 방법이 좋은지 신중하게 판단하여 운영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게임 개발팀의 운영 형태에 대하여 설명 드립니다.
게임 개발팀의 운영 형태 |
게임 개발팀의 운영 형태
작성자 : 채경석 http://a.tk.co.kr
- 직원
일반적인 게임팀의 모든 개발 체계를 회사에서 관여하고 비용을 지불하며 게임 개발에 대한 모든 책임을 회사가 지는 안정적이고 관리적인 형태.
회사에서 게임팀의 모든 비용을 부담하지만 게임팀의 독립적인 개발을 보장하고 수익의 일부분을 보너스 등으로 할당하는 방법으로 창의적이고 독립적인 형태
- 독립 채산제(팀)
회사 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팀으로 회사에서 초기 비용을 지불하지만 이후 개발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개발팀에서 부담하고 수익을 회사와 나누어 비용을 차감하고 수익을 취하는 형태
직원 | 스튜디오 | 독립 채산 팀 | |
인사 권한 | 회사 전담 | 회사 조율 | 팀 전담 |
초기 자금 | 없음 | 없음 | 회사 부담 |
수익 | 회사 수익 | 회사 수익 | 수익쉐어(초기 결정) |
월급 및 비용 | 회사 부담 | 회사 부담 | 직접 부담 |
보너스 (비율) | 회사 결정(낮음) | 회사 결정(중간) | 팀 결정(높음) |
팀장 대우 | 회사 결정 | 회사 조율 | 팀 결정 |
손해의 책임 | 회사 책임(부담) | 회사 책임(부담) | 팀 책임(부담) |
회사의 역할 | 모든 관리 | 개발의 방향성 및 프로젝트를 결정을 하고 서비스를 한다. | 경영 및 서비스 영업 등을 지원한다. |
주의 사항 | 회사의 관여가 많을 경우 독창적인 게임이 나올 가능성이 적어 진다. 직원들의 무사안일주의 | 팀장의 역할에 따라서 수익성이 '0' 인 팀이 존재할 수 있어 회사에서 비용 부담이 커진다. | 정확한 기준(비용/수익/쉐어의 계산) 없이 실행된다면 상호 불신과 단기적인 성과에만 집중하여 조직 문화에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음 |